비트코인이 단순한 디지털 자산을 넘어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논의가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이 주요 정책으로 부상하며 법안 발의까지 이루어진 상황입니다. 반면, 일본은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점차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흐름 속에서 한국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의 전략적 자산화 논의와 그에 따른 한국의 정책적 과제를 분석합니다.
1. 글로벌 논의 확산: 미국과 일본의 상반된 입장
미국에서는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공식 채택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인은 비트코인 비축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현재 연방준비제도(Fed)가 100만 개의 비트코인을 매입해 20년간 보유하는 법안이 상정된 상태입니다. 이는 탈달러화 움직임에 대응하고,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달러 패권을 유지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반면, 일본은 비트코인을 외환자산으로 인정하지 않고, 현행 법률에 따라 외환자금특별회계로 편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대신은 암호화폐는 유동성과 안정성이 낮아 보유가 어렵다고 강조했습니다.
2. 유럽과 기타 국가의 움직임
유럽에서도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사라 크나포 유럽의회 의원은 유럽연합의 비트코인 준비금 도입을 촉구하며, 디지털 자산을 새로운 경제 무기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경제적 경쟁 속에서 디지털 자산이 금융 주권 확보의 도구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한국의 현재 상황: 미온적인 대응
한국 정부는 비트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의 전략적 비축 논의에서 한 발 뒤처진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유신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은 미·중 패권 갈등 속에서 은행 시스템 밖 중립화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자산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특히 달러 수요 증가가 한국 환율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비트코인 비축 정책과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지지 않아 평가할 시점이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이러한 신중한 태도가 오히려 국제 흐름에 뒤처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4. 주요 국가의 비트코인 전략 비교
국가 | 비트코인 전략 | 입장 |
---|---|---|
미국 | 100만 개 비트코인 매입 및 20년 보유 | 적극적 |
일본 | 암호화폐 외환 인정 불가 | 신중 |
유럽연합 | 비트코인 준비금 도입 논의 중 | 논의 초기 |
5. 한국의 과제: 디지털 자산 전략 마련의 필요성
한국은 비트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정책적 준비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주요 과제입니다:
- 정책적 연구: 디지털 자산의 국제적 흐름과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야 합니다.
- 법적 체계 마련: 디지털 자산을 외환자산으로 인정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검토해야 합니다.
- 공론화 과정: 학계와 산업계, 정치권이 참여하는 공론화를 통해 디지털 자산 비축의 필요성과 방법을 논의해야 합니다.
'경제공부 > 세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글로벌 노동 시장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3) | 2025.01.02 |
---|---|
달러 강세 속 엔화 투자 패러다임의 전환 (0) | 2024.12.27 |
"EU-메르코수르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경제 협력과 미래 전망" (1) | 2024.12.07 |